종이컵인쇄 어디서 제작하나?
종이컵인쇄 어디서 제작하나?
Blog Article
“요즘은 난초입니다. 난초는 종이 엄청 많지만 종의 개체 수는 많지 않아요. 그래서 멸종위기종이 많습니다. 난초를 연구하면 다른 식물 보전에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식물세밀화가이자 식물학자인 신혜우 박사에게 특히 끌리는 식물에 관해 묻자 나온 답이다. 2019년 이화여대 대학원에서 ‘기생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지난 2년 미국 메릴랜드주 스미스소니언 환경연구센터에서 난초와 곰팡이 공생 관계 연구로 박사후과정을 밟았다.
이달 그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생물학 학회인 영국 런던학회(1788년 창립)가 과학적인 식물 그림을 그린 연구자나 화가에게 수여하는 질 스미시스상을 받았다. 앞서 2013년부터 영국왕립원예학회의 보태니컬(식물) 아트 국제전시회에 네번 참여해 모두 금메달을 받기도 했다.
그는 식물 이야기를 풀어주는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 2021년 나온 첫 책 ‘식물학자의 노트-식물이 내게 들려준 이야기’는 3만6천권이나 나갔고 2022년에는 식물을 매개로 사람들과 나눈 대화를 풀어낸 책 ‘이웃집 식물상담소’를 펴냈다. 이달 초에는 스미스소니언 환경연구센터에서 식물과 만나는 동안 틈틈이 써온 글을 엮은 세번째 책 ‘식물학자의 숲속일기’(한겨레출판)가 나왔다.
경남의 시골 동네에서 살던 어릴 때부터 식물이 제일 신기하고 예뻤다는 신 박사는 초등 1학년 때는 그렇게 가기 싫던 학교를 일요일에 혼자 찾기도 했단다. 노란 은행나무 잎들이 한꺼번에 떨어지는 광경을 보기 위해서다. “제가 6살 때 부모님이 식물도감을 사주셨어요. 어린 딸이 식물 이름을 묻고 또 묻는데 답할 수 없어 도감을 구해주셨다고 해요.”
‘식물에 빠진 어린아이’라니 또래 친구와 어울리기 쉽지 않았을 것 같다고 하자 그는 “대학에서 식물학을 하기 전까지는 외로웠다”며 말을 이었다. “식물분류학회에서 만난 학자들도 대부분 저처럼 어린 시절을 보냈더군요. 식물학은 사실 외울 게 너무 많아 어린 시절부터 관심을 갖지 않으면 따라가기 쉽지 website 않아요. 우리나라만 식물이 4천종입니다.”
“저는 숲 속을 걸을 때 뭔가 눈에 띄면 바로 (제 생각을) 녹음합니다. 그런데 숲에서는 매번 그런 일이 생겨요. 이번 책에 나오는 호랑가시나무나 낙엽에 대한 글도 그렇게 썼죠.”
그림을 무척 좋아한 어린 시절 크리스마스 카드를 만들 때면 늘 호랑가시나무를 그렸다는 그는 이번 책에서 호랑가시나무를 두고 “겨울을 나는 지혜와 너그러움을 몸소 보여주는 성스럽고 아름다운 나무”라고 썼다. ‘호랑가시나무는 겨울에도 풍성하고 가시가 많은 잎 때문에 새들에게 폭풍과 포식자를 피하는 피난처가 되고 겨울 양식이 되는 빨간 열매도 선물한다.’ 호랑가시나무 특유의 생존 지혜는 초식동물 접근을 막으려 나무 위보다 아래쪽 잎에 가시가 많고, 겨울 추위를 견디기 위해 잎이 단단하고 도톰하다는 점이다.
책에는 그가 지난 2년 연구한 난초와 곰팡이의 공생 관계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담겼다. 그는 박사후과정 중 ‘곰팡이 유무에 따라 난초 뿌리에서 내뿜는 화학물질이 어떻게 다른지’ 등의 연구 과제를 수행했다. 그 목적은 모두 “난초와 곰팡이 보전”이다.
“난초는 특이하게도 곰팡이가 없으면 자연 상태에서 싹 트지 않아요. 발아할 때 영양분을 제공해주는 배유(양분 저장 조직)가 없어서죠. 난초 종이 다 그래요. 그래서 곰팡이가 부족하면 난초는 다 사라집니다.”
경북대 생물학과 학부 시절 지도교수 권유로 식물세밀화를 그리기 시작한 그는 지난 2년 축적한 자료를 기반으로 앞으로 북미 자생 난초 세밀화 시리즈도 그릴 계획이다.